오토바이 취득세란?
취득세는 구매 등으로 오토바이의 소유권이 이전될 때 납부하는 세금입니다. 과거에는 취득세와 등록세를 별도로 냈지만, 현재는 이를 합쳐 ‘취득세’로 한 번에 과세하고 있는데요. 세율은 배기량(cc)에 따라 아래와 같이 차등 부과됩니다.
배기량 | 취득세율 |
---|---|
50cc 미만 | 없음 |
125cc 미만 | 차량 가액의 2% |
125cc 이상 | 차량 가액의 5% |
신차 오토바이 취득세 계산 방법
신차 오토바이의 취득세 계산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실제 구매 가격(신고가액)을 과세표준으로 삼아 해당 세율을 적용해 산정하는데요. 신차는 구매 가격이 명확히 증명되기 때문에, 취득세 계산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
취득세 = 과세표준 (실제 구매 가격) x 세율
1. 과세표준 산정 공식
신차의 과세표준은 프로모션 등으로 할인받은 금액을 차감한 뒤 실제 구매 가격에 세율을 적용해 계산됩니다. 이때 부가가치세(VAT)는 과세표준에서 제외됩니다. 오토바이 구매 시 함께 장착된 순정 옵션 금액은 과세표준에 포함되는데요. 반면, 나중에 별도로 장착하는 옵션은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2. 취득세 계산 예시
고가의 차량을 구매할수록 취득세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오토바이를 구매할 때는 차량 가격뿐만 아니라 취득세까지 함께 고려해야 하는데요. 예를 들어, 가격이 1,000만 원인 오토바이를 구매할 경우, 배기량이 125cc 미만인 경우와 이상인 경우의 취득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매 가격 | 배기량 | 취득세 |
---|---|---|
1,000만 원 | 125cc 미만 | 1,000만 원 * 2% = 20만 원 |
1,000만 원 | 125cc 이상 | 1,000만 원 * 5% = 50만 원 |
중고 오토바이 취득세 계산 방법
중고 오토바이의 취득세 계산은 신차보다 다소 복잡합니다. 이는 실제 구매 가격이 아니라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인데요. 여기서 과세표준은 ‘구매 가격’과 ‘시가표준액’ 중 더 높은 금액을 의미합니다.
- 취득세 = 과세표준(실제 구매 가격) * 세율
-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표 기준 가격 또는 구매 가격 * 경과연수별 잔존가치율
1. ‘시가표준액’이란?
시가표준액은 지방자치단체가 매년 고시하는 오토바이별 기준 가격을 말합니다. 이는 실제 시장 가격과 상관없이 1년 동안 고정되며, 중고 차량에 세금을 부과할 때 기준으로 사용되는데요. ‘시가표준액’은 관할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경과연수별 잔존가치율’이란?
오토바이는 연식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시가표준액에 연식에 따른 감가상각률인 ‘잔존가치율’을 곱해 과세표준을 산정합니다. 경과연수는 오토바이 제작연도를 기준으로 해당 연도 말을 기산점으로 계산되는데요. 예를 들어, 2023년에 제작된 오토바이를 2023년 7월에 구매했다면 ‘1년 미만’의 잔존가치율이 적용됩니다.
경과 연수 | 잔존가치율 |
---|---|
1년 미만 | 0.717 |
1년 경과 | 0.562 |
2년 경과 | 0.457 |
3년 경과 | 0.380 |
4년 경과 | 0.317 |
5년 경과 | 0.264 |
6년 경과 | 0.100 |
3. 취득세 계산 예시
중고 오토바이의 취득세는 구매 가격 또는 시가표준액에 잔존가치율을 곱해 산정한 과세표준에, 배기량에 따른 취득세율을 적용해 계산되는데요.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과세표준을 정할 때 구매 가격과 시가표준액 중 더 큰 금액이 적용된다는 점입니다.
항목 | 내용 |
---|---|
배기량 | 125cc 이상 (세율 5%) |
구매 가격 | 1,900만 원 |
시가표준액 | 2,000만 원 |
잔존가치율 | 0.717 (1년 미만 경과) |
과세표준 | |
취득세 | 1,434만 원 * 5% = 717,000원 |
취득세 절약 방법
1. 배기량 50cc 미만 선택
배기량 50cc 미만 오토바이는 취득세가 전액 면제되므로, 근거리 운행이 목적이라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2. 연식이 오래된 중고 오토바이 구매
6년 이상 경과된 중고 오토바이는 잔존가치율이 0.1(10%)로 낮아져 취득세 부담이 크게 줄어드는데요. 예를 들어, 신차 가격이 500만 원 이하인 오토바이가 6년이 지나면 과세표준이 50만 원 이하로 떨어져 취득세가 면제될 수 있습니다.
3. 중고 거래 금액 조절
일반적으로는 구매 가격보다 시가표준액이 높으면 시가표준액을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되는데요. 시가표준액이 없는 희귀 바이크이거나 담당 공무원의 판단에 따라 실제 거래 금액이 인정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가능한 구매 금액을 낮추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됩니다.
오토바이 보험 견적 비교
오토바이 보험은 차량의 배기량, 사용 목적, 보장 범위, 운전자의 나이 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또한, 보험사마다 보험료 책정 방식이 달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토바이 보험에 가입할 때는 여러 보험사의 견적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지금까지 오토바이 신차와 중고차 구매 시 취득세 계산 방법을 알아봤습니다. 오토바이 취득세는 구매할 때 자칫 놓치기 쉬운 부분인데요. 특히 중고 오토바이는 복잡한 과세표준 산정 방식 때문에 예상보다 많은 세금을 낼 수도 있으므로, 구매 전 취득세 계산 방법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